교환사채(EB: Exchangeable Bond)
투자자가 보유한 채권을 일정시일 경과 후 발행회사가 보유중인 다른 회사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붙은 사채를 말한다. 전환사채와 유사하나 전환대상 주식이 자기회사가 아닌 다른 회사 주식이라는 것이 차이점이다.
투자자는 교환사채 장래 주식의 가격 상승에 따른 높은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고, 발행회사는 낮은 이율로 사채를 발행하여 이자지급 부담을 덜어 사채발행을 통한 기업자금조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, 보유주식의 직접 매각시 발생할 수 있는 주가하락 분산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.

그러나 교환사채 교환시 급격한 자산감소가 발생하고, 교환 청구 대비에 따라 보유한 유가증권의 현금화를 통한 운용이 불가능하며, 예탁기관(증권예탁원)에 소정기간 동안 예치하여 발생하는 보유 유가증권의 담보화 내지 고정 자산화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.
| 직장인 필수 경제용어 - 금융소득종합과세 (0) | 2019.08.15 |
|---|---|
| 직장인 필수 경제용어 - 경제특구(special economic zone) (0) | 2019.08.15 |
| 직장인 필수 경제용어 - 공모(일반모집) / public offering (0) | 2019.08.11 |
| 직장인 필수 경제용어 - 기업 인수·합병(M&A: Merger and Acquisitions) (0) | 2019.08.11 |
| 직장인 필수 경제용어 - 결합재무제표 (0) | 2019.08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