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산소결핍의 개요
1) 산소결핍 : 공기 중의 산소 농도가 18% 미만인 상태(보통 공기 중 산소 농도 21%)
2) 산소결핍증 : 산소가 결핍된 공기를 들이 마심으로써 생기는 증상
(인체 조직에 혈액과 산소가 결핍되어 질식사를 유발할 수 있음)
3) 산소 농도 측정의 주체
- 관리감독자
- 안전관리자
- 보건관리자
- 지정 측정기관
2. 작업관리 및 보호구 사용법
1) 산소결핍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 작업 절차
- 작업 장소 위험요인 확인
- 출입 전 산소 농도 측정
- 작업 전 환기 실시
- 작업 중 산소 농도 측정 및 계속 환기 실시
- 작업 종료 시 개인위생 관리 철저
2) 산소결핍 재해 방지를 위한 보호구
- 공기 호흡기 : 압축공기를 충전시킨 소형 고압 공기 용기를 사용하여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산소결핍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함
- 송기 마스크 : 신선한 공기 또는 공기원(공기압축기, 압축 공기관, 공압 공기 등)을 사용하여 공기를 호스를 통해 송기함으로써 산소결핍으로 인한 위험 방지를 위해 사용함
3. 응급처치 방법
1) 구강대 구강법
① 재해자의 입으로부터 오물,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평평한 바닥에 반듯하게 눕힘
② 한쪽 손으로 재해자의 턱을 들어 올리고, 다른 손은 재해자의 이마에 대어 머리를 완전히 젖혀 기도를 일직선으로 유지함
③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입을 열고 오른손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은 코를 쥐고, 재해자 입에 처치자와의 입을 밀착시켜서 숨을 불어 넣음
④ 재해자의 가슴이 볼록해진 것을 확인하고 입을 뗌
⑤ 호흡 간격은 5초 간격으로 약 1분에 12~15회 정도의 호흡을 위와 같이 반복함

2) 심폐소생술
- 심정지 확인
- 도움 및 119 신고 요청
- 가슴압박 30회 시행
- 인공호흡 2회 실시
-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
- 회복 자세

3) 자동 제세동기
- 전원 켜기
- 패드 부착
- 심장리듬 분석
- 전기 충격
